The Last Pencil on Earth – Riverside Gallery, 202237th solo exhibition About 30 pencil works from November 2019 (The Last Pencil on Earth) and 30 canvas works that have not been presented since 2018 (Along the love road – Full Moon works, Along the love road works) will be presented in the exhibition. For over 40 years of his art career, Sungmo Cho has been making canvas works and three-dimensional works on the topic of Civilization, Nature, and Humanity. The core message of his art is about coexistence and consideration – that all human beings and creatures on the planet should live in peace and love each other. Robert C.Morgan – Art Critic -Omission- The artist’s manner of showing us the oppositions and compromises necessary to live in this world, which is our everyday world, are convincing and encouraging. There is a dynamic in his series of paintings, titled Along the Road, which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and given further attention. It is not only a way of painting, but a way of life, a way of getting into the emotional and physical resources that we need to endure and to live our lives happily with a sense of complete fulfillment. This is the message I get from the paintings of Sungmo Cho. Riverside Gallery OpeningReception The meaning of <Sarang Mountain> as a frontier base for ‘the road of love through art’ by Yun Jin-Seop (Art critic) Sungmo Cho is about to celebrate his 37th solo exhibition, which marks a significant milestone in his artistic career. This article briefly describes my critical perspective on Sungmo Cho’s life and art, which I have been observing since he moved to the United States in 1992. Ⅰ. It is not easy to define Sungmo Cho’s life and art in a single phrase, due to the unique personal experiences he has had. After 30 years of living in the United States, reflecting back on his journey, he, like most immigrants in America, has also experienced a bitter and challenging path. Settling in New York with his family, Sungmo Cho worked as a limo driver in Manhattan to cover his tuition and living expenses. The life of a limo driver that he pursued for over 7 years, starting from his arrival in the United States in 1992, had completely reversed day and night. This lifestyle, which mainly involved picking up passengers at the Manhattan World Trade Center in the dark of night and embarking on long-distance trips, unexpectedly provided him with various subjects and inspirations related to painting. Among them, his work based on an impressive prison building with tall, white fence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at period. He titled this painting <Wall>(created in 1995). In the artwork, several trees with abundant branches stan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high, white prison wall that cuts across the center of the canvas, and a full moon rises behind the wall, leaving a lasting impression. The presence of double mesh fences installed on the wall indicates that this building is a prison. The land on which the trees have their roots is painted in dark colors, and the trees themselves are also depicted in a dark, flat silhouette. By closely examining this artwork, we can vividly witness the initial manifestation of Sungmo Cho’s artworks that feature a strong tendency towards formalization, using trees and forests as subjects. Even before immigrating to the United States, when he was active as an artist in Korea, Sungmo Cho frequently depicted road landscapes. In 1991, when I invited Sungmo Cho to participate in the [Echoes of Seoul Exhibition] as a commissioned artist at Gwanhun Gallery, his paintings also focused on road landscapes. The reason why I, as an art critic and independent curator, began to pay attention to Sungmo Cho’s artwork was his solo exhibition held at Now Gallery in 1991. The exhibition showcased a series of paintings depicting urban roadscapes, titled [Signal of Civilization]. At the moment I saw those artworks, I was captivated by the surrealist techniques displayed in his works and his bold visual juxtaposition of urban civilization and nature. Around that time, Seoul had grown into a massive city with a population of over 10 million, and was facing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pollution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and overpopulation. Coming from Buyeo, Chungcheongnam-do, Sungmo Cho struggled to adapt to the life in Seoul. As a result, during his university years in the late 1970s, he often visited Banpo, where the express bus terminal was located, in order to travel to Buyeo, where his family lived, on weekends. II. The painting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Fine Arts at Chung-Ang University, where Sungmo Cho attended, had a strong tradition of realism. Professors from the representational lineage, including Choi Young-rim, Jang Ri-seok, and Hwang Yu-yeop, produced countless representational artists. Among the professors, only Jung Young-ryeol was an abstract artist. This tradition of extreme realism produced exceptional artists. For example, Bae Dong-hwan and Byun Jong-gon emerged in the art scene of the 1970s through their political paintings. In 1982, Im Heung-soon, Lee Myung-bok, Lee Jong-goo, Song Chang, Jeon Joon-yeop, Hwang Jae-hyeong, Cheon Kwang-ho, and others formed the <Im-sul Year> group. Around this time, Sungmo Cho depicted books piled up in a cabinet realistically in his artwork titled <Books> for the 11th National University Art Exhibition, which earned him the prestigiou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ward. Chung-Ang University not only had extreme realism but also had experimental and avant-garde artists. For instance, the <Damoo> group, formed by alumni of the painting department at Chung-Ang University, such as Kim Jeong-sik and Hong Seon-woong, held the <Daeseong-ri 31> exhibition in 1981, marking the first outdoor art festival in Korea. During this time, when the art scene was dominated by modernism, the “Reality and Utterance” group, which was launched in 1979 by the Korean people’s art movement, gradually started showing signs of cracks. Sungmo Cho is one of the artists who can witness this period through his experience in the art scene. In 1980, at the first [Keumkang River Contemporary Art Festival], he installed a metaphorical representation of the distorted history of the Baekje Kingdom, a chair about 4 meters high, on the Baeksa Beach near Gongju.1) He also participated in the [Andepangtang] exhibition2) hosted by the Korean Artists Association, which attracted young artists interested in contemporary art, multiple times in the 70s and 80s. He participated in the [Daeseong-ri] exhibition (1985-6) and also actively engaged in the contemporary art movement with fellow artists. He was invited to the 1st and 2nd Triennial Exhibition in 1987 and 1991 and became an invited artist at the [87 Young Artists Exhibition] hos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in 1987. The art scene in the mid-1980s, when Sungmo Cho was actively engaged in art, was a period in which young artists sought career opportunities through small group movements. Groups such as <Meta-Vox>, <Nanji-do>, <TARA>, <Logos and Pathos> pursued career paths while representing diverse perspectives and ideologies. In this context, Sungmo Cho sought his own unique position by participating in solo exhibitions rather than group activities, and by winning awards at various art competitions organized by the media, such as the [Dong-A Art Festival by Dong-A Press Group], [Grand-Prix Exhibition held by Chung-ang Press Group ], and [Grand-Prix Exhibition held by Hankook Press Group]. It was in the late 1980s that Sungmo Cho’s series <Signal of Civilization>, which incorporated elements of surrealistic expression, began to draw attention in the art world. After about seven years since the start of his <City Image> series in 1980, the initially somewhat abstract and geometric forms in his paintings gradually transformed into concrete representations of objects, with the appearance of traffic signs and long stretches of roads. In the solo exhibition at Now Gallery in 1991 that I attended, there were paintings depicting scenes of an arch-shaped tunnel beneath the towering buildings of a massive city, with triangular traffic signs flying in the air below. Participating in Sungmo Cho’s [Ecole de Seoul] exhibition was a very important opportunity that recognized his artistic world centered around the theme of the city. It was a green light for him to establish a solid position as an artist by continuing his activities in Korea. However, despite the promising future, Sungmo Cho, who harbored ambitions for international success, decided to immigrate after visiting Hawaii, L.A, and New York in 1990. Thus, he led his entire family on the journey of immigration. The changes in his life that took place in 1992 brought about not only the hardships of artistic life in a foreign land but also a renewed passion for creation. Although the Sublime Affair posed the greatest crisis of putting an end to his ability to work and closing down his framing store and art gallery, it ironically became an opportunity for him to fully focus on his career as a full-time artist. It was in the late spring of 2011 that Sungmo Cho made a big decision. Filled with a desperate desire to create art, he temporarily separated from his family and obtained a studio in a building in downtown New York to dedicate himself to painting. He became immersed in the world of creation, locked in his studio. Since his first solo exhibition at the Gwanhun Gallery in Seoul’s Insa-dong in 1985, Sungmo Cho has held approximately 37 solo exhibitions and has been invited to participate in over 150 group and curated exhibitions, establishing himself as a prominent mid-career artist. III. In 2012, Sungmo Cho’s move to Sarang Mountain marked a significant turning point or milestone in his life. A year prior, he had the opportunity to unleash his passion for creation that had been pent up in his heart like a deep-rooted resentment. Sarang Mountain3) is considered his ‘canvas of nature’, where he portrays nature in his own colors, reflecting his lifelong work. A sincere artist in his own life, Sungmo Cho added ‘LOVE’ to his originally set themes of ‘civilization, city, and humanity’, aiming to become a messenger of love. Since ‘LOVE’ emerged as the theme of his artwork in 2009, Sarang Mountain has now become a place where the practice of compassion and universal love can be realized. ‘The road’ is the most prominent theme in Sungmo Cho’s creative life spanning over 40 years. In fact,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Sungmo Cho has solely focused on drawing and creating sculptural and installation works centered on ‘the road’ until now. For him, the road represents not only the ‘path of life’ but also concrete roads depicted within his artworks. Although it may appear that his nomadic life has settled at Sarang Mountain, deep inside, he continues to fiercely explore new aspects of the road. The road serves as a connection between the major themes of Sungmo Cho’s artwork – ‘nature, civilization, and humanity’ – and serves as a passage or channel that illuminates the future vision for humanity. which is none other than love. IV. In an interview, Sungmo Cho said, “Like experiencing various things in the journey of life, I consider a canvas as a life and divide it into ‘roads,’ placing various images in it.” These words represent his unique style of painting. The <road> he mentions is a metaphor for life, much like in director Federico Fellini’s film <La Strada>. If you look at Cho’s life journey, you can see this comes from real experience. Especially the history of him dedicating seven years of his life as aousine driver reinforces the symbolism of the <road>. The scenery of forests and cities observed while driving a taxi were embodied on the canvas surface as mirrors reflecting his life. These images are not raw, but imprinted on the canvas as strong secretions of life melted by the rich juice of life. His views on civilization and future vision are contained in words like ‘LOVE’ and ‘Sarang-means ‘love’ in Korean, which are added on top of seriously formalized forests, moons, trees, and cityscapes. His passion and concern for the ‘Sarang Mountain’ in this era of global crisi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destroying ecosystems day by day, go beyond the meaning of simple labor and contain the meaning of restoring the global ecosystem. His attention to environmental issues and his desire to restore nature through constant physical labor carries meaning comparable to social sculpture represented by Joseph Beuys’ ‘7000 Oaks’ (1982, Kassel, Germany). This hard work, in which an artist invested his time in the latter part of his life to turn ruins that no one took care of into fertile soil where beautiful flowers, birds, and butterflies coexist, being with great social significance and sends a valuable message to humanity, It is none other than love. After immigrating to Sarang Mountain, Sungmo Cho has been carrying out pencil works for several years. It is, quite literally, a performance. He carves large and small pencils by shaping the trees he finds around his home. Sungmo Cho depicts the corrupted media as ‘bent pencils’ (曲筆) and ‘rotten pencils’ (腐筆) that turn away from the truth, critiquing and satirizing their reality through pencil sculptures. Last year, Sungmo Cho began the task of climbing a tree about 40 meters high in Sarang Mountain and using a chainsaw to shape the tree into a pencil. As a monumental performance of sorts, a task risking his life, Sungmo Cho successfully completed the work and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4-meter-high hexagonal pencil. He mentioned that he is currently drying the wood before proceeding with the actual production. Watching the scene of him climbing to the top of the tall tree and trimming the branches with a chainsaw, I felt both a sense of anxiety and astonishment at his unwavering passion for art. And I thought to myself, this sight will be remembered by art lovers as a symbol of Sungmo Cho’s strong determination towards his life and art, considering his unique background as a former officer in a courageous special forces unit during his youth. 1) Interview with Sungmo Cho, June 3, 2022. ‘예술을 통한 사랑의 길’의 전진기지로서 <사랑 마운틴>의 의미 윤진섭(미술평론가) 조성모가 어느덧 생애 통산 37회째의 개인전을 맞이한다. 이 글은 지난 1992년 이래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작가의 길을 걸어온 조성모의 삶과 예술에 대해 그동안 지켜봐 온 나의 비평적 관점을 간략히 서술한 것이다. Ⅰ. 화가 조성모의 삶과 예술을 한 마디로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그만큼 독특한 삶의 이력을 지녔기 때문이다. 어느덧 30년이 돼가는 그의 미국 생활을 돌아볼 때, 대부분의 미국 이민자들이 그렇듯이 그 역시 신산(辛酸)한 삶의 도정(道程)을 겪었다. 온 가족과 함께 뉴욕에 둥지를 튼 조성모는 대학원 학비와 생계를 위해 맨하튼(Manhatten)에서 리모 드라이버를 한다. 미국에 도착한 1992년부터 7년여간 계속한 리모 드라이버의 생활은 낮과 밤이 뒤바뀐 상태였다. 주로 어두운 밤에 세계무역센터(Manhattan World Trade Center)에서 승객을 태우고 장거리 운행을 하는 이 생활은 그러나 뜻밖에도 그에게 그림과 관련된 여러 소재와 영감을 주었다. 그중에서도 흰색의 높은 담장이 인상적인 교도소 건물을 소재로 한 그림은 이 시기 대표작 중의 하나다. 그는 이 그림에 <벽(Wall)>(1995년 작)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화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높은 교도소의 흰 벽을 배경으로 가지가 무성하게 뻗은 여러 그루의 나무들이 서 있고, 벽의 너머로 둥두렷이 솟은 보름달이 인상적인 작품이다. 벽 위에 설치된 이중의 철조망은 이 건물이 교도소임을 알려준다. 나무들이 뿌리를 딛고 있는 땅은 어두운 색으로 칠해졌으며, 나무들 역시 어둡게 평면적인 실루엣으로 처리돼 있다. 나무와 숲을 소재로 한 조성모의 작품들이 심한 양식화적 경향을 보이는 특징의 초기 모습을 이 시기의 대표작인 이 작품에서 생생하게살펴볼 수 있다.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기 전, 한국에서 작품 활동을 할 때부터 조성모는 도로 풍경을 즐겨 그렸다. 1991년, 관훈갤러리에서 열린 [에꼴 드 서울전]의 커미셔너 자격으로 내가 조성모를 전시에 초대했을 때에도 그의 그림은 도로 풍경이었다. 미술평론가이자 독립 큐레이터인 내가 조성모의 작품을 눈여겨보게 된 계기는 1991년에 나우갤러리에서 열린 개인전이었다. 거기에 예의 거리 풍경을 그린 [문명의 시그널(Signal of Civilization)] 연작들이 전시돼 있었다. 그 작품들을 보는 순간, 나는 그의 작품에서 보이는 초현실주의풍의 기법과 도시 문명을 자연과 대비시킨 대담한 시각적 대위법에 주목했다. 이 무렵 서울은 인구 1천만 명을 넘긴 거대도시로 성장하여 각종 공해는 물론 인구 밀집에 따른 다양한 사회 내지는 환경 문제들을 낳고 있었다. 충남 부여 출신인 조성모는 그러한 서울 생활에 잘 적응을 하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에 입학을 한 1977년 무렵에 그는 주말이면 가족이 살고 있는 부여로 내려가기 위해 고속터미널이 있는 반포를 찾았다. Ⅱ. 조성모가 다닌 중앙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서양화 전공)는 옛날부터 사실주의 전통이 강했다. 최영림을 비롯하여 장리석, 황유엽 등 구상계열의 교수들이 포진, 수많은 구상작가들을 화단에 배출했다. 교수들 중에서 추상작가는 오직 정영렬 뿐이었다. 그러한 중대의 극사실주의 전통은 기라성같은 작가들을 배출했다. 가령, 배동환과 변종곤은 민전을 통해 70년대의 화단에 부상했으며, 임흥순, 이명복, 이종구, 송창, 전준엽, 황재형, 천광호 등등이 모여 1982년에 <임술년>그룹을 창립했다. 이 무렵 조성모는 제11회 전국대학미전에 벽장에 쌓여있는 책들을 극사실적으로 묘사한 <책>을 그려 영예의 문교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중대에는 반드시 극사실주의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개중에는 실험적이며 전위적인 의식을 지닌 작가들도 있었다. 예컨대 김정식, 홍선웅 등등 중앙대학교 회화과 출신이 모여 결성한 <다무> 그룹은 1981년에 [대성리 31인]전을 개최, 국내 야외 미술제의 첫 출범을 알렸다. 이 무렵은 모더니즘 일색의 화단에 1979년 <현실과 발언> 그룹이 촉발한 민중미술로 인해 서서히 균열의 조짐이 보이던 시절이었다. 조성모는 이 시기를 화단의 체험을 통해 증언할 수 있는 작가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1980년에 창립한 [금강현대미술제]초대전에서 그는 지역감정으로 왜곡된 백제의 역사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약 4미터 높이의 의자를 공주 인근의 금강 백사장에 설치했다.1) 그는 또한 70-80년대에 현대미술에 관심이 있는 작가들이면 대부분 참가한 미협 주최의 [앙데팡당]전2)에 수차례에 걸쳐 참가하는 등 청년작가의 한 사람으로서 창작에의 열정을 불태웠으며, [대성리]전에 참가(1985-6), 동료 작가들과함께 동시대 미술의 흐름에 동참하기도 하였다. 1987년과 1991년에는 [제1, 2회대전 트리엔날레]에 연거푸 초대를 받았으며, 1987년에는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이 주최한 [87청년작가전]의 초대작가가 되었다. 조성모가 가열차게 미술활동을 해나가던 80년대중반의 양상은 젊은 작가들이 소그룹 운동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던 시기였다. <메타복스(Meta-Vox)>를 비롯하여 <난지도>, <TARA>, <로고스와 파토스>와 같은 그룹들이 서로 다른 입장과 이념을 표방하면서 화단에서 활로를 모색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성모는 그룹 활동보다는 기획전에 초대를 받거나 형상성을 표방한 [동아미술제]를 비롯하여 [중앙미술대전], [한국미술대상전] 등 언론사가 주최한 각종 민전에서 입상하면서 자신의 독자적인 입지를 모색해 나갔다. 약간의 초현실주의적 표현술을 차용한 조성모의 <문명의 시그널> 연작이 화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80년대 후반이었다. 1980년부터 시작한 <도시 이미지> 연작에서 약 7년이 경과하자, 초기에 약간 추상적이며 기하학적 형태를 갖췄던 화면이 점차 구체적인 사물의 형태로 바뀌면서 교통표지판과 쭉 뻗은 도로의 이미지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내가 본 1991년의 나우갤러리 개인전에는 거대한 도시의 빌딩 아래 아치형 터널이 보이고 그 아래로 삼각형의 교통표지판이 허공을 날아가는 장면의 그림들이 출품되었다. 조성모의 [에꼴 드 서울]전에의 참가는 도시를 소재로 한 그의 작품세계가 인정을 받은 매우 중요한 계기였다. 한국에서 계속 활동하면 작가로서의 입지가 탄탄해질 수 있는 청신호였다. 그러나 당시만 해도 가슴에 청운의 야심을 품은 조성모는1990년에 하와이, L.A, 뉴욕을 답사한 후 이민을 결정했다. 그리하여 온 가족을 이끌고 이민 길에 오른 것이다. 1992년에 이루어진 이 삶의 변화는 이국에서 맞이한 작가적 삶의 고난 속에서도 창작의 열정을 안고 가장으로 또한 작가로 치열한 삶을 살았다. 서브라임 사태는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그래도 여유가 있는 액자가계와 화랑운영을 접게 만드는 최대의 위기를 몰고 왔지만, 그것은 반대급부로 전업작가로서의 기회를 만드는 전화위복이 되었다. 그러던 조성모가 큰 결심을 한 것은 2011년의 늦봄 어느 날이었다. 작품을 해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에 가족과 잠시 결별, 뉴욕 시내의 한 건물에 스튜디오를 얻어 독하게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는 스튜디오에 틀어박혀 창작의 세계에 몰두했다. 조성모는 1985년 서울 인사동에 위치한 관훈갤러리에서 첫 개인전을 가진 이후 지금까지 약 37회에 걸쳐 개인전을 열고 150여 회에 달하는단체전과 기획전에 초대된 중진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Ⅲ. 2012년, 사랑마운틴(Sarang Mountain)에의 입주는 조성모의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삶의 전환점 내지는 이정표가 되는 사건이었다. 그 한 해 전에 조성모는 스튜디오에서 그동안 가슴 속에 일종의 한(恨)으로 자리잡은 창작에의 열정을 풀 기회가 있었다. 사랑 마운틴3)은 그가 ‘자연의 캔버스’로 간주, 그림을 그리듯 자연을 자신의 색깔로 그리는 필생의 작업이다. 그 자신의 인생에 정직한 조성모는 애초에 설정한 ‘문명, 도시, 인간’의 주제에 이제 ‘사랑(LOVE)’를 추가하여 사랑의 전도사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2009년, ‘사랑(LOVE)’이 작품의 주제로 등장한 이후 인간애, 인류애를 구현할 수 있는 센터로서 사랑마운틴은 이제 그 실천의 장소가 된 것이다. ‘길’은 지난 40여 년에 걸친 조성모의 창작생활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테마이다. 아니, 조성모는 이제까지 오로지 ‘길’을 주제로 그림을 그리고 입체, 설치 작업을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길은 조성모 개인에게 있어서는 ‘인생의 길’인 동시에 실제로 작품 속에 표현된 구체적인 길이기도 하다. 유랑과도 같은 그의 인생의 길은 이제 사랑마운틴에 정착된 듯 보이지만 내면속에서 그는 지금도 치열하게 길의 새로운 모습을 모색하고 있다. 길은 조성모 작품의 대주제가 되는 ‘자연, 문명,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체이자 인류에게 미래의 비전을 비쳐주는 통로 내지는 채널이기도 하다. Ⅳ. 한 인터뷰에서 조성모는 “인생의 여정에서 여러 경험을 하듯, 캔버스를 한 인생으로 간주, ‘길’로 분할하고 그 속에 여러 이미지를 넣는다”고 말했다. 이 말은 그만의 독특한 화풍을 대변한다. 그가 말하는 길은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영화 <길(La Strada)>처럼 인생에 대한 은유로서의 길인 것이다. 사실, 조성모의 삶의 궤적을 살펴보면 이 말이 실감이 난다. 특히 그가 리모 드라이버로 무려 7년이란 세월을 바친 이력은 ‘길’의 상징성을 강도 높게 입증해 준다. 택시를 운전하며 관찰한 숲과 도시들의 풍경은 자신의 삶을 비추는 거울로써 캔버스 표면에 육화(肉化)되었다. 경험하지 않은 생짜가 아니라 삶의 진한 담즙에 의해 녹아내린 강한 삶의 분비물로서의 이미지들이 캔버스에 각인되기에 이른 것이다. 심한 양식화적 경향을 보이는 숲과 달, 나무, 도시 풍경 위에 부감법으로 써넣은 ‘LOVE’나 ‘사랑’과 같은 단어들에는 그가 바라보는 문명의 관점과 미래의 비전이 담겨 있다. 환경 오염에 의해 생태계가 나날이 파괴되는 이 총체적인 지구촌 위기의 시대에 ‘사랑 마운틴’에 기울이는 그의 열정과 관심은 단순한 노동의 의미를 넘어 지구촌 생태계 복원의 의미를 담고 있다. 환경 문제에 기울이는 조성모의 관심과 끊임없는 육체노동을 통해 자연을 복원하려는 그의 의지는 요셉 보이스의 <7000 그루의 떡갈나무>(1982- 독일 카셀)로 대변되는 사회적 조각에 비견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 사람의 예술가가 인생 후반부의 시간을 투자하여 아무도 돌보지 않는 폐허를 아름다운 꽃들과 새, 나비들이 공존하는 옥토로 바꾼 이 역사(役事)는 크나큰 사회적 의미와 함께 인류에게 소중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으니, 그것은 다름 아닌 사랑이다. 사랑 마운틴으로 이주한 이후, 수년 전부터 조성모는 연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것은 말 그대로 수행(performance)에 가깝다. 집 주변에서 구한 나무를 깍아 크고 작은 연필을 조각하는 것이다. 조성모는 진실을 외면하는 언론에 빗대 ‘굽은 연필(曲筆)’, 자본에 침식당한 언론을 썩은 연필(腐筆)로 묘사, 그 실상을 연필 조각으로 비판하는 동시에 풍자하고 있다. 작년에 조성모는 사랑마운틴에 있는 약 40미터 높이의 나무에 올라가 전기톱으로 나무를 다듬어 연필을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다. 한편의 거대한 퍼포먼스이기도 한, 목숨을 담보한 이 작업을 무사히 마치고 조성모는 지금 높이 4미터의 육각형 연필을 만드는 중이다. 그는 본격적인 제작에 들어가기에 앞서 나무를 말리는 중이라고 말했다. 나는 그가 높은 나무 꼭대기에 올라가 전기톱으로 잔가지들을 처내는 장면을 보면서 한편으로는 조마조마한 가슴을 쓸어내리며 다른 한편으로는 예술을 향한 그의 끊임없는 열정에 놀랐다. 그리고 생각했다. 그 모습은 젊은 시절에 용맹한 공수특전단의 장교로 복무한 적이 있는 특이한 이력을 지닌 조성모가 자신의 삶과 예술에 대해 강인한 결기를 보여주는 하나의 상징으로 세인들의 뇌리에 기억될 것 이라고. 1) 조성모와의 인터뷰, 2022. 6. 3일 2) 독립전을 의미하는 이 전시는 한국미술협회가 1972년에 창립한 것이다. 원래 취지는 파리비엔날레 등 국제전 참가 작가를 선정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이 전시는 초기에 국제전 참가를 열망하는 청년작가들의 비상한 관심을 받았으나 80년대 들어서 유명무실해 졌다. 3) 조성모의 회고에 의하면 이 장소의 발견은 하나의 운명이었다. 평소 산에서 사는 게 꿈이었던 조성모는 약 1천 5백 평에 달하는 이 땅을 구입한 후 정성을 다해 가꿔 지금은 구글에서 검색되는 유명한 ‘사랑 마운틴(Sarang Mountain)’이 되었다. | The Last Pencil on Earth, Pencil,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0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0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Acrylic on Giclee Printed Canvas, 40 X 20″, 2022 | The Last Pencil on Earth, Acrylic on Giclee Printed Canvas, 40" X 20″, 2022 | The Last Pencil on Earth, Acrylic on Giclee Printed Canvas, 40" X 20″, 2020 | The Last Pencil on Earth, Acrylic on Giclee Printed Canvas, 60" X 30″, 2022 | Front & Back The Last Pencil on Earth - 2022, Wood, 16"(W) X 122”, 2021 Acrylic on Giclee Printed Canvas, 80" X 40" | The Last Pencil on Earth, 2021, Wood, 57(L) X 6(W) | The Last Pencil on Earth, 2021, Wood, 5 1:2(W) X 50(H)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Acrylic on Giclee Printed Canvas, 40 X 20″, 2022. | From the left, The Last Pencil on Earth - a rotten pencil, 2019, Wood, 6 1:4”(L) X 1”(W), a curved pencil, 2020, Wood, 6 1:4(L) X 1”(W), a direct pencil, 2020, Wood, 6 1:4” X 1 1:8” | The Last Pencil on Earth, Acrylic on Giclee Printed Canvas, 40" X 20″, 2020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and Real Pencil, 2 3/4"(W) X 27 3/8"(H),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12"(W) X 57 1/2"(H),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Wood,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Acrylic on Giclee Printed Canvas, 80 X 40", 2021 | The Last Pencil on Earth, Acrylic on Giclee Printed Canvas, 60 X30″, 2022. |